반응형
네트워크 용어
- 네트워크 :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.
- 프로토콜 : 국가끼리 문제없이 교류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
- TCP/IP : 네트워크 상 송수신을 원할하게 수행하기 위한 규칙으로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일련의 작업을 하나로 모은 것
- 패킷 :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잘라서 보내는 방식으로, 보통 1 패킷 = 1024 비트이다.
- cf) OSI 7 계층
TCP/IP 작동 방식
- [송신자 A] 애플리케이션 층 (HTTP, SMTP, POP3, FTP)
- 애플리케이션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작성한다.
- [송신자 A] 트랜스포트 층 (TCP / UDP)
-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고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번호와 데이터 조합하기 위한 정보를 작성한다.
- [송신자 A] 네트워크 층 ( IP )
- 송수신할 컴퓨터 주소와 불명인 경우 데이터를 파기하는 표시 등을 작성한다.
- [송신자 A] 데이터링크 층 (Ethernet)
- 네트워크 종류에 맞춘 형식으로 수신지 정보 등을 작성한다.
- [송신자 A] 물리 층
- 비트열을 신호로 변환해 전송한다.
- [수신자 B] 물리 층
-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.
- [수신자 B] 데이터링크 층 (Ethernet)
- 헤더에 적힌 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프로토콜에게 전달한다.
- [수신자 B] 네트워크 층 ( IP )
- 헤더에 적힌 수신처가 맞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프로토콜에게 전달한다.
- [수신자 B] 트랜스포트 층 (TCP / UDP)
- 헤더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해 조합한다.
- [수신자 B] 애플리케이션 층 (HTTP, SMTP, POP3, FTP)
- 조합된 데이터를 확인한다.
TCP/IP 4 계층 - 인터넷 모델
< 응용 계층 >
- 컴퓨터끼리의 주고받기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‘통신 서비스’ 형태로 만드는 것(서버/클라이언트)
- 애플리케이션 헤더 : 요청과 응답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헤더
- HTTP 프로토콜 : 하나의 요청에 하나의 응답을 반환하고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
- cf) HTTP 프로토콜과 Cookie/Session
< 전송 계층 >
- 애플리케이션 층과 네트워크 층의 중개 역할을 수행
- TCP 프로토콜과 UDP 프로토콜이 존재한다.
- cf) TCP/UDP 프로토콜 차이점
< 인터넷 계층 >
- 누가 누구에게 전달할 지를 결정하는 주요 역할, 적절한 루트를 사용해 전달하는 역할(Router)
- IP 주소 :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을 식별하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주어지는 숫자
- IP 프로토콜 : 비커넥션형 프로토콜로 UDP와 동일하다. 신뢰성 있는 IP를 지원하기 위해 ICMP 프로토콜이 있다.
- ICMP 프로토콜 : 수신인에게 전달되지 않는 등 문제 발생 시 송신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메세지를 전송한다.
- IP 데이터그램 : 트랜스포트 층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IP 헤더를 붙인 것
- Best Effort 방식 -> 노력은 하지만 결과는 보장하지 않는다.
<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>
- 데이터 링크 안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지 결정하는 역할
- NIC(Network Interface Card)을 통해 비트열 <-> 신호 변환
- NIC에는 MAC 주소라는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MAC 주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자 NIC에서 데이터를 받는다.
- 수신인의 IP 주소만 알고 MAC 주소를 모르는 경우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프로토콜을 활용한다.
- MAC 주소를 알고싶은 컴퓨터의 IP 주소를 ARP 패킷에 적고 브로드캐스트 MAC 주소 앞으로 보낸다.
- 자신의 IP 주소가 아니라면 파기하고, 자신의 IP 주소라면 MAC 주소를 적은 ARP 패킷을 송신자에게 보낸다.
< CSMA 프로토콜 >
-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상호충돌을 방지하고자 전송 Bus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프로토콜
- 노드 A에서 네트워크를 전송하기 전에 현재 채널을 사용 여부를 확인해 다중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
< CSMA/CD >
- 송신 전에 전송매체가 비어 있는지 확인하고(Carrier Sense), 비어 있으면 신호를 전송하고(Multiple Access), 전송 후에 충돌이 있는지 확인(Collision Detection) 하는 방식
- 데이터 프레임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CSMA 방식에 충돌 검증 + 재전송 기능 추가
- 모든 노드가 순서와 규칙 없이 경쟁하여 선로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토큰 버스, 토큰 링은 각 노드에 차례로 점유할 기회를 주는 순차적 할당 방식
- 전송량이 적을 때 효율적이고 버스형 LAN에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
- 송신하기 전에 송신중인 다른 노드가 없는지 조사한다.
- MAC 주소 b 앞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자기 앞으로 온 데이터일 경우 회수, 아닐 경우 파기한다.
- 충돌을 감지했을 때는 잠시 후 다시 전송한다.
<CSMA/CA >
- CSMA 방식 기반에 RTS와 CTS를 사전에 주고 받음으로써 전송할 시간을 미리 예약하여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식
반응형
'∙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TCP/UDP란? (0) | 2019.03.22 |
---|---|
[Network] OSI 7 Layer란? (0) | 2019.03.22 |
[Network] HTTP와 REST API (0) | 2019.02.13 |
[Network] 주소창에 www.naver.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(0) | 2018.12.13 |